도심 속 자연을
집 앞에서 만날 수 있는 곳
프로젝트 사례 | 과천시 부림동
도심 속 자연을 집 앞에서
만날 수 있는 곳
거실을 더 시원해보이게
다세대주택은 아파트와 달리 인동간격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거실 밖 풍경은 종종 앞 집 담벼락이나 옆 집 창문인 경우가 많다. 테라빌드에서는 투룸 평면이어도 채광과 환기에 유리한 3-BAY 평면을 선호해왔지만, 본 프로젝트의 경우 거실에서 바라보는 풍경을 보존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했다.
과천 주택 단지와 관악산을 조망할 수 있는 메인 도로면에 거실과 주방인 공용 공간을 우선 배치하여 채광과 개방감을 높였고 반대쪽 조용한 공간으로 침실과 화장실 등을 계획하였다.
위생적이고 편리한 화장실
우리나라 화장실은 보통 열효율이 좋은 강제급배기 시스템을 활용하는데, 이 시스템은 샤워 중 발생하는 습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자연 배기가 가능한 창을 화장실에 설치할 수 없다면, 곰팡이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설계 단계부터 건식과 습식 공간을 분리해 곰팡이가 생길 수 있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화장실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샤워 공간은 옷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여유있게 공간을 계획하였다. 화장실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사용하더라도 불폄함이 없도록 변기-세면대-샤워실 각 공간별 기능을 분리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법정 주차대수를 만족하기 위한 노력
8대 이하의 주차장은 연접주차가 가능하다. 그러나, 연접주차 사이에는 2.5m 이격 해야하는 조건이 있다. 본 프로젝트의 토지는 좌우의 폭이 좁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이 조건을 만족하면서 주차대수 8대를 계획할 수 없었다. 국토교통부로부터 연접주차 사이의 2.5m 이격 거리 사이에 내력 기둥 혹은 내력벽이 배치된다면 2.5m 를 이격하지 않아도 된다는 답변을 받았다. 해당 내용은 서울시 지자체 일부에서 주무관의 유권해석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되고 있었지만 과천에서는 우리가 최초로 시도하여 적용하였다.
덕분에 우리 대지 사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8대의 주차장이 4대씩 대지의 양옆으로 배치되었고 그 사잇길을 보행자 통로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대지의 가장 안쪽 공간은 엘리베이터-계단실-복도가 차례대로 배치되고 주차와 코어의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전실, 실외기실, 분리수거장 등 주택의 부속시설들을 비교적 여유롭게 배치할 수 있었다.
과천시 부림동
안심건축
SUMMARY
위치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용적률
용도
층수
주차대수
착공
준공
과천시 부림동
233.30㎡
139.75㎡
454.01㎡
59.90% / 194.60%
공동주택, 도시형생활주택
5층/ 8세대
8대
2020년 8월 10일
2021년 4월
과천시 부림동
안심건축
SUMMARY
위치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용적률
용도
층수
주차대수
착공
준공
과천시 부림동
233.30㎡
139.75㎡
454.01㎡
59.90% / 194.60%
공동주택, 도시형생활주택
5층/ 8세대
8대
2020년 8월 10일
2021년 4월
거실을 더 시원해보이게
다세대주택은 아파트와 달리 인동간격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거실 밖 풍경은 종종 앞 집 담벼락이나 옆 집 창문인 경우가 많다. 테라빌드에서는 투룸 평면이어도 채광과 환기에 유리한 3-BAY 평면을 선호해왔지만, 본 프로젝트의 경우 거실에서 바라보는 풍경을 보존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했다. 과천 주택 단지와 관악산을 조망할 수 있는 메인 도로면에 거실과 주방인 공용 공간을 우선 배치하여 채광과 개방감을 높였고 반대쪽 조용한 공간으로 침실과 화장실 등을 계획하였다.
위생적이고 편리한 화장실
우리나라 화장실은 보통 열효율이 좋은 강제급배기 시스템을 활용하는데, 이 시스템은 샤워 중 발생하는 습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자연 배기가 가능한 창을 화장실에 설치할 수 없다면, 곰팡이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설계 단계부터 건식과 습식 공간을 분리해 곰팡이가 생길 수 있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화장실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샤워 공간은 옷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여유있게 공간을 계획하였다. 화장실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사용하더라도 불폄함이 없도록 변기-세면대-샤워실 각 공간별 기능을 분리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법정 주차대수를 만족하기 위한 노력
8대 이하의 주차장은 연접주차가 가능하다. 그러나, 연접주차 사이에는 2.5m 이격 해야하는 조건이 있다. 본 프로젝트의 토지는 좌우의 폭이 좁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이 조건을 만족하면서 주차대수 8대를 계획할 수 없었다. 국토교통부로부터 연접주차 사이의 2.5m 이격 거리 사이에 내력 기둥 혹은 내력벽이 배치된다면 2.5m 를 이격하지 않아도 된다는 답변을 받았다. 해당 내용은 서울시 지자체 일부에서 주무관의 유권해석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되고 있었지만 과천에서는 우리가 최초로 시도하여 적용하였다. 덕분에 우리 대지 사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8대의 주차장이 4대씩 대지의 양옆으로 배치되었고 그 사잇길을 보행자 통로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대지의 가장 안쪽 공간은 엘리베이터-계단실-복도가 차례대로 배치되고 주차와 코어의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전실, 실외기실, 분리수거장 등 주택의 부속시설들을 비교적 여유롭게 배치할 수 있었다.
다른 프로젝트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도봉구 도봉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성동구 용답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근린생활시설
서울 동작구 상도동근린생활시설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방이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상가주택
서울 노원구 공릉동상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송파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도시형 생활주택
다가구주택
서울 과천시 과천동다가구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관악구 봉천동도시형 생활주택
다른 프로젝트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도봉구 도봉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성동구 용답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근린생활시설
서울 동작구 상도동근린생활시설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방이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상가주택
서울 노원구 공릉동상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송파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도시형 생활주택
다가구주택
서울 과천시 과천동다가구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관악구 봉천동도시형 생활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