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공생하는
타운하우스 같은 집
프로젝트 사례 | 과천시 과천동
자연과 공생하는
타운하우스 같은 집
이형의 땅, 정형의 평면
과거 과천동은 그린벨트였기 때문에 토지의 정형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네모 반듯한 모양의 정형화된 평면이 아닌, 예각 혹은 둔각의 평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조건을 가진 토지였다. 각들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느 곳을 예각으로 만들 것인지 우리는 매우 신중한 선택을 해야했다.
우리는 공간설계의 핵심을 반듯한 거실과 주방공간으로 정했다. 즉 세대내의 공용공간을 우선 반듯하게 만든 다음 나머지 공간을 배치하는 전략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을 2룸, 3룸등 방의 갯수로 상품성을 판단하지만 거실 주방과 같이 함께 생활하는 공용공간은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좋고 예쁨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짙다. 우리는 이 점을 파악하고 가장 좋은 공간을 공용공간에 할애하였다.
복도는 수납의 공간으로
세대 내 공용공간을 반듯한 공간으로 만들고 더불어 가능한 가장 좋은 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용공간이 코어로부터 멀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구조는 세대내 복도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복도공간은 특별한 기능을 하지 않고 이동 동선으로만 활용되기 때문에 주택 평면에서 죽은공간(Dead Spac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복도 공간을 조금 더 넓게 계획하여 폭 400mm짜리 수납장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주어 창고의 기능을 더했다. 작은 공간을 쪼갠 다세대주택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가 부족한 수납 공간인데, 이 복도가 실용적인 공간으로 수납의 문제를 해결해주리라 기대해본다.
주방을 소통의 공간으로
집에서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은 어디일까? 사람들의 패턴을 돌이켜 보면 거실은 TV를 보기 위해 쇼파를 일렬로 배치하고 앞을 바라보고 있어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반대로 주방은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공간에서 벗어나 가족이 함께 요리를 즐기며 대화하는 모두의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주방은 공용공간에서 가장 구석에 있어 채광과 환기가 열악한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방에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도록 창을 배치하여 외부 전경이 보이는 주방으로 구성했다. 더불어 여유 있는 공간을 위해 6인용 식탁을 놓을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할애하여 적극적인 주방으로 계획하였다.
조금 더 특별한 화장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화장실은 변기-세면기-샤워부스가 한 공간에 있어 한 사람이 모든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이런 구조는 아침 출근 시간 등 가족들 간 화장실, 욕실 사용이 겹쳐 불편함이 따른다. 그래서 우리는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세면기를 건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했다. 가족들과 함께 사는 공간이기 때문에 샤워기와 변기는 같은 공간에 계획하여 프라이빗하고 넓은 독립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과천시 과천동
안심건축
SUMMARY
위치
대지면적
건축면적
건폐율/용적률
용도
층수
주차대수
착공
준공
과천시 과천동
537.00㎡
321.59㎡
59.89% / 132.78%
제1종일반주거지역
지하1층, 지상4층 / 10세대
13대
미정
미정
과천시 과천동
안심건축
SUMMARY
위치
대지면적
건축면적
건폐율/용적률
용도
층수
주차대수
착공
준공
과천시 과천동
537.00㎡
321.59㎡
59.89% / 132.78%
제1종일반주거지역
지상5층 / 7세대
5대
미정
미정
이형의 땅, 정형의 평면
과거 과천동은 그린벨트였기 때문에 토지의 정형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네모 반듯한 모양의 정형화된 평면이 아닌, 예각 혹은 둔각의 평면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조건을 가진 토지였다. 각들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느 곳을 예각으로 만들 것인지 우리는 매우 신중한 선택을 해야했다. 우리는 공간설계의 핵심을 반듯한 거실과 주방공간으로
정했다. 즉 세대내의 공용공간을 우선 반듯하게 만든 다음 나머지 공간을 배치하는 전략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을 2룸, 3룸등 방의 갯수로 상품성을 판단하지만 거실 주방과 같이 함께 생활하는 공용공간은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좋고 예쁨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짙다. 우리는 이 점을 파악하고 가장 좋은 공간을 공용공간에 할애하였다.
복도는 수납의 공간으로
세대 내 공용공간을 반듯한 공간으로 만들고 더불어 가능한 가장 좋은 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용공간이 코어로부터 멀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구조는 세대내 복도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복도공간은 특별한 기능을 하지 않고 이동 동선으로만 활용되기 때문에 주택 평면에서 죽은공간(Dead Spac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복도 공간을 조금 더 넓게 계획하여 폭 400mm짜리 수납장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주어 창고의 기능을 더했다. 작은 공간을 쪼갠 다세대주택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가 부족한 수납 공간인데, 이 복도가 실용적인 공간으로 수납의 문제를 해결해주리라 기대해본다.
주방을 소통의 공간으로
집에서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은 어디일까? 사람들의 패턴을 돌이켜 보면 거실은 TV를 보기 위해 쇼파를
일렬로 배치하고 앞을 바라보고 있어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반대로 주방은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공간에서 벗어나 가족이 함께 요리를 즐기며 대화하는 모두의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주방은 공용공간에서 가장
구석에 있어 채광과 환기가 열악한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방에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도록 창을 배치하여 외부 전경이 보이는 주방으로 구성했다. 더불어 여유 있는 공간을 위해 6인용 식탁을
놓을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할애하여 적극적인 주방으로 계획하였다.
조금 더 특별한 화장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화장실은 변기-세면기-샤워부스가 한 공간에 있어 한 사람이 모든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이런 구조는 아침 출근 시간 등 가족들 간 화장실, 욕실 사용이 겹쳐 불편함이 따른다. 그래서 우리는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세면기를 건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공간으로 분리했다. 가족들과 함께 사는 공간이기 때문에 샤워기와 변기는 같은 공간에 계획하여 프라이빗하고 넓은 독립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다른 프로젝트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도봉구 도봉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성동구 용답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근린생활시설
서울 동작구 상도동근린생활시설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방이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상가주택
서울 노원구 공릉동상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송파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도시형 생활주택
다가구주택
서울 과천시 과천동다가구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관악구 봉천동도시형 생활주택
다른 프로젝트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도봉구 도봉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경기 과천시 부림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성동구 용답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삼전동도시형 생활주택
근린생활시설
서울 동작구 상도동근린생활시설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방이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과천시 별양동도시형 생활주택
상가주택
서울 노원구 공릉동상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송파구 송파동도시형 생활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도시형 생활주택
다가구주택
서울 과천시 과천동다가구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서울 관악구 봉천동도시형 생활주택